본문 바로가기
경제

수수료 낮고 수익률 좋은 ETF는? 2024년 투자자가 선택한 ETF 분석하기

by mynote7128 님의 블로그 2025. 4. 11.
반응형

 

 

1. ETF란 무엇인가? 초보자들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이유


ETF(Exchange Treaded Fund)는 특정 지수나 자산군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게 만든 상품입니다.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결합한 이 상품은 초보자에게도 진입장벽이 낮고 분산투자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매력입니다. 예를들어 KOSPI200을 추종하는 ETF를 매수하면 200개의 대형주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ETF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 (실전 팁)


ETF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분산과 비중 조절입니다.

  • 안정적인 수익을 원할 경우: 채권 ETF+ 배당 ETF
  • 공격적인 성향일 경우: 성장주 ETF + 배당 ETF
  • 기본적인 포트폴리오 : 국내 ETF + 해외 ETF + 채권 ETF -> KODEX 200(30%) + S&P500(40%) + TLT(30%)

 

3. 2024년에 인기를 끌었던 ETF 추천 리스트


2024년은 AI, 반도체, 미국 기술주가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2025년도 크게 바뀌지 않을 전망으로 보이는데요.

  • TIGER 미국나스닥 100 ETF: 나스닥 100을 추종하며 미국 기술주에 간접 투자 가능
  • KODEX 반도체 ETF: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중심의 국내 반도체 업종 ETF
  • TIGER 2차전지테마 ETF: 국내외 2차전지 관련 기업 중심
  • KBSTAR 글로벌 AI테크 ETF: 생성형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AI 산업 중심 ETF
  • TIGER 미국 S&P500 ETF: 미국 대형주에 분산투자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ETF

 

4. ETF 수수료 비교, 무엇을 봐야 할까?


1. ETF 수수료의 기본 : 총보수 (Total Expense Ratio)

연간 보수로, 자산운용사·수탁사·판매사에 들어가는 비용을 포함합니다. 총보수가 0.2%인 ETF에 1,000만원을 투자했다면, 1년에 약 2만원의 수수료가 빠져나가는 것입니다. 총보수가 적을수록 투자에 유리합니다.


2. 국내 ETF VS 해외 ETF 수수료 비교


국내 ETF는 총보수의 관점에서 수수료가 높은 편으로 일반 CMA통장에서 거래하는 것은 비추천합니다. 하시고 싶으시다면 ISA계좌나 연금저축펀드계좌로 절세를 통해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

국내상장된 해외 ETF(TIGER 미국 S&P500)이나 해외 ETF(VOO)가 가장 저렴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해외 ETF는 세금 면에서는 불리하다는 점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국내 ETF 세금 구조


국내 주식형 ETF

매매차익 (시세차익) 비과세


배당소득 (분배금) : 15.4% 과세

예시: KODEX 200, TIGER 2차전지테마 등

-> 장점: 시세차익에 대해 세금 안내도 됨 (국내주식처럼 취급)



●  국내 상장 해외 ETF (ex. 미국 지수 추종형)

매매차익 (시세차익):15.4% 배당소득세 과세

배당소득(분배금) : 15.4% 과세

예시: TIGER 미국 S&P 500, KODEX 미국 나스닥 100 등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 (연 2,000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해외 ETF 세금 구조


매매차익(시세차익): 22% 양도소득세

기본공제 250만원 (1년 기준)

개인이 직접 미국 ETF (예: VOO, QQQ) 등에 투자할 경우 해당

배당소득(분배금): 미국에서 원천징수 15%

-> 이중과세는 안함 -> 하지만 국내에서 추가 과세가 가능함 (금융소득 종합과세)














반응형